금은 안전자산이다. 금값이 계속 올라가는 지금 금 투자를 생각할 수 있다. 금은 다른 자산과 다른 움직임을 보이기 때문에 독보적인 투자처이다. 인플레이션을 연계매매로 위험을 분산해 줄 수 있는 유일한 투자처인 금. 금 투자를 생각하면 금은방에 가서 골드바를 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금은방에서 금을 사게 되면 보수비, 부가가치세 등 금값 이외의 부수적인 비용이 든다. 비용을 줄이면서 금 투자를 할 수 있는 방법, 아래에서 확인해 보고 1g으로 시작해 보길 바란다.
[1] KRX 금 시장이란?
KRX 금 시장은 한국거래소(KRX)에서 운영하는 금 현물 시장으로, 1g 단위로 금을 사고팔 수 있습니다. 여기서 거래되는 금은 99.99% 순도의 실물 금이며, 세금 혜택(부가가치세 면제)이 있어 개인 투자자들에게 유리합니다.
[2] KRX 금 투자 방법
1. 증권사 계좌 개설
KRX 금 시장에서 거래하려면 금 현물 거래가 가능한 증권사 계좌를 개설해야 한다.
2. 금 거래 신청
계좌 개설 후 증권사에서 KRX 금 거래 신청을 해야 한다. 신청이 완료되면 HTS나 MTS에서 금을 직접 매매할 수 있다.
3. 금 매매
주식 처리 1g 단위로 금을 사고팔 수 있으며, 가격은 국제 금 시세와 연동된다. 거래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으로 주식시장과 동일하다
4. 금 보관 및 인출
구매한 금은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안전하게 보관해 준다. 실물 인출을 원할 경우 한국예탁결제원의 지정 창고(부산)에서 수령 가능하다. 단, 실물 인출 시 부가가치세 및 부대비용이 든다.
[3] KRX 금 현물 거래
비과세이며 10년 동안 보수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실물 출고가 가능하기 때문에 원할 경우 한국예탁결제원의 지정 창고에서 수령 가능하다. 단, 실물 인출 시 부가가치세 및 부대비용이 든다.
[4] 금 펀드
주식이 아니라 일반 펀드이기 때문에 ISA, CMA 등 모든 계좌에서 구매할 수 있고 환 헤지 상품(원·달러 환율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 상품)이 있어서 구매 가능하다. 일반 ETF보다 일반 펀드기 때문에 보수가 좀 더 비싸다.
[5] 국내 금 ETF
우리나라 주식시장이 열려 있는 시간대에만 구매 가능하다. 한 주 가격의 보통 가격은 만 원이라 소액 투자가 가능하고 수수료가 낮아서 소액투자자에 추천된다. 다른 ETF 포트폴리오 구성할 때 포트폴리오가 깔끔해서 정리하기 쉽다.
[6] 미국 금 ETF
IAU, GLD 가 대표적인 미국 금 ETF이다. 장점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이다. 하지만 한 주에 30만원 정도이기 때문에 소액 투자가 힘들다. 또한 달러로 투자하는 부분이기에 환전 수수료도 들고 환율에 노출이 어렵다. 보수도 높기 때문에 처음 금 투자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추천되지 않는다.
[7] 금 투자 시 주의할 점
금 투자는 이자를 주지 않는 자산이라는 점을 생각해야 된다.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비용을 들지 않는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 증권사를 이용할 때도 수수료가 제일 적은 곳에서 거래하기를 추천하다. 또한 실물 금이 아닌 펀드나 ETF를 통해 투자할 시 배당소득세(15.4%) 비용이 든다는 점도 인지해야 한다.